본문 바로가기

직장인종합소득세

(2)
연봉이 높으면 종합소득세를 따로 내야 할까요? 연봉만으로 종합소득세를 추가 납부하진 않습니다. 하지만 연봉 외 수당이나 외부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별도 신고가 필요할 수 있어요. “월급 외 수입은 없는데, 종합소득세를 또 내라고요?”매년 5월이 되면 직장인분들 중 이런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아요.특히 연봉이 높은 경우엔 ‘소득이 많으니 세금을 더 내야 하나?’ 하고 불안해하실 수 있죠.오늘은 직장인의 연봉과 종합소득세 신고 사이의 관계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.- 연말정산: 회사가 급여 지급 시 원천징수한 세금을 1년 단위로 정산하는 절차- 종합소득세 신고: 사업소득, 이자소득, 기타소득 등을 모두 합산해 신고하는 제도- 원천징수: 소득 지급 시 소득세를 미리 떼서 국가에 대신 납부하는 제도- 근로소득만 있는 자: 회사 급여 외 다른 소득..
성과급과 강의료, 300만 원 넘으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직장인도 회사 외 소득이 300만 원을 넘으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. 기타소득의 기준과 예외 규정을 함께 정리해드립니다. “회사에서 받는 급여 외에, 다른 수입은 다 신고해야 하나요?”요즘처럼 부업이 보편화된 시대엔 한 직장만 다닌다고 해서 무조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아닌 건 아닙니다.특히 성과급, 외부 강의료, 외주 수입 등 기타소득이 300만 원을 넘는 경우, 종합소득세 신고가 의무가 될 수 있어요.오늘은 그 기준과 실제 예외 조항까지 함께 정리해볼게요.- 기타소득: 일시적 수입으로, 강연료·원고료·상금·공모전 수익 등 정기성이 없는 소득.- 300만 원 기준: 연간 기타소득 합계액이 300만 원 초과 시,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 발생.- 분리과세: 일정 조건의 소득은 별도로 20% 세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