종합소득세 신고서에는 상대방의 매출, 순이익, 세금 정보까지 담겨 있어요.
어디를 보면 되는지 항목별로 알려드릴게요.
계약서 사인 전에 “종소세 신고서 한 장만 보여주세요”라는 요청, 요즘 흔해졌죠.
프리랜서, 외주사업자, 1인기업과 거래할 때 실제 매출과 순이익을 미리 확인하려는 실무자들이 많아졌기 때문이에요.
그런데 문제는, 신고서를 받아도 어디를 어떻게 봐야 ‘실제 수익’을 알 수 있는지 모른다는 거예요.
오늘은 종합소득세 신고서로 상대방의 매출·순이익을 파악하는 법을 항목별로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.
계약 실무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팁만 모았습니다.
✅ 종합소득세 신고서로 매출을 확인할 수 있나요?
네, 가능합니다.
‘총수입금액’ 항목에 표기된 금액이 그 사람의 1년 매출(총매출)이에요.
예: 총수입금액이 9,800만 원이면, 해당 연도 연매출은 9,800만 원이라는 뜻이에요.
✅ 순이익은 어디서 확인하나요?
‘소득금액’을 보시면 돼요.
이 항목은 총수입금액 – 필요경비로 계산되며, 실질적으로 그 사람이 벌어들인 이익을 보여줘요.
예: 총수입 9,800만 원 – 필요경비 6,300만 원 = 소득금액 3,500만 원
✅ ‘결정세액’은 뭐예요?
결정세액은 실제로 납부한 종합소득세예요.
소득이 적어도 세금이 많을 수도 있고, 반대로 소득이 많은데 공제 혜택 덕에 세금이 적을 수도 있어요.
그러니 ‘소득금액’ 중심으로 판단하는 게 가장 정확해요.
✅ 기장 여부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신고서에 ‘기장/추계 여부’ 표시가 있어요.
- 기장신고: 실제 지출 자료 기반으로 경비 산정
- 추계신고: 국세청 기준경비율로 추정
기장 신고는 보통 더 정확한 순이익 계산이 가능하다는 뜻이에요.
✅ 신고서에 거래처 정보도 나오나요?
아니요. 거래처, 사업 파트너 등의 세부 정보는 나오지 않아요.
단지 총액 기준의 수입과 경비, 소득만 확인할 수 있어요.
✅ 이 서류로 소득 진위 여부도 알 수 있나요?
신고서 하단에 홈택스 접수번호와 제출 일자가 있어요.
이걸 통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.
PDF 원본 + 홈택스 출력본인지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.
✅ 언제 기준의 매출인가요?
신고서에 적힌 건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소득 기준이에요.
2024년 소득은 2025년 5월에 신고되며, 그 내용이 담긴 서류예요.
✅ 이 서류 없이도 매출 확인이 가능한가요?
부분적으로는 가능해요.
예를 들어 부가가치세 신고서, 지급명세서 등도 참고할 수 있지만,
실제 순이익까지 파악하려면 종소세 신고서가 유일한 수단이에요.
✅ 협상에 불리해질 수도 있나요?
그럴 수 있어요.
예를 들어 “작년 순이익이 이 정도였는데 왜 단가를 더 올리냐”는 식의 논리로 이어질 수 있어요.
그래서 필요한 항목만 일부 캡처해서 보내는 방식도 실무에선 사용돼요.
✅ 요약해서 꼭 봐야 할 항목은요?
1. 총수입금액 → 매출
2. 필요경비 → 총비용
3. 소득금액 → 순이익
4. 결정세액 → 낸 세금
5. 기장/추계 여부 → 정확도 판단 기준
종합소득세 신고서는 단순한 세금 문서를 넘어,
그 사람의 1년치 영업실적 보고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.
협업을 앞두고 있다면,
이 서류의 각 항목이 무슨 의미인지 정확히 알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해요.
실무자는 단순 수치 이상의 정보 해석력을 갖춰야 신뢰 있는 계약을 이끌 수 있습니다.
달매의 세금노트, 내일도 한 줄씩 쌓아갈게요.
구독으로 함께해요 :)
'세금 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급명세서란? 신고 때 꼭 필요한 이유 (2) | 2025.05.18 |
---|---|
종합소득세 계산법, 누진세율 때문에 세금이 이렇게 나와요 (0) | 2025.05.17 |
종합소득세 핵심! ‘과세표준’ 뜻부터 정리 (0) | 2025.05.15 |
사업자등록 안 해 들키지 않을까? 국세청 추적 방식 알려드립니다 (0) | 2025.05.14 |
부가세 신고 안 했더니 날아온 고지서, 추정 고지의 정체는? (0) | 2025.05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