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금 노트

종합소득세 핵심! ‘과세표준’ 뜻부터 정리

박달매 2025. 5. 15. 07:30

 종합소득세의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은 ‘총수입금액 – 필요경비’로 계산됩니다. 

종합소득세를 신고하다 보면 “과세표준이 얼마다”라는 말을 자주 접하게 돼요.
그런데 이 ‘과세표준’이 정확히 뭘 뜻하는지, 어떻게 계산되는지 헷갈리시는 분들이 많죠.
오늘은 종합소득세 계산의 핵심이 되는 ‘과세표준’의 의미와 계산법
예시를 들어가며 쉽게 정리해드릴게요.


※ 총수입금액: 1년 동안 벌어들인 전체 매출 또는 수입
※ 필요경비: 수입을 얻기 위해 실제로 쓴 비용
※ 과세표준: 총수입금액에서 필요경비를 뺀, 세금 계산의 기준 금액


🔸 과세표준이란 정확히 뭔가요?
과세표준은 ‘실제로 세금을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 금액’이에요.
총수입금액에서 필요경비를 뺀 뒤, 각종 소득공제를 적용한 결과로 결정돼요.
즉, 내가 실제로 벌어들인 돈 중에서 ‘과세 대상이 되는 순수익’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요.

🔸 공식은 어떻게 되나요?
기본 공식은 이래요:
과세표준 = 총수입금액 – 필요경비 – 소득공제
→ 이 금액에 누진세율이 적용돼서 최종 세액이 계산돼요.

🔸 예시로 보면 어떤가요?
예를 들어 총수입이 6,000만 원이고, 필요경비가 3,000만 원, 소득공제가 1,000만 원이라면
과세표준은 6,000 – 3,000 – 1,000 = 2,000만 원이 되는 거예요.
이 2,000만 원에 따라 종합소득세율이 적용되죠.

🔸 과세표준이 높으면 어떻게 되나요?
과세표준이 높을수록 높은 세율 구간에 들어가게 돼요.
우리나라는 누진세율 구조라서, 1,200만 원까지는 6%,
4,600만 원까지는 15%, 그 이상은 점점 더 올라가요.

🔸 소득공제도 과세표준에 영향을 미치나요?
물론이에요. 소득공제가 많아질수록 과세표준은 줄어들어요.
따라서, 놓치지 말아야 할 공제 항목을 잘 챙기는 게 중요하죠.

🔸 과세표준은 어디서 확인할 수 있나요?
홈택스 종합소득세 신고 화면에서 ‘예상 세액 보기’를 클릭하면
현재 입력된 항목을 기준으로 계산된 과세표준과 산출세액을 바로 확인할 수 있어요.

🔸 과세표준을 줄이려면 어떻게 해야 하나요?
가장 현실적인 방법은 필요경비와 공제 항목을 정확하게 입력하는 거예요.
장부 정리를 잘하고, 공제 항목(인적공제, 보험료, 연금저축 등)을 놓치지 않는 게 핵심이에요.


종합소득세는 총수입이 많다고 무조건 세금을 많이 내는 게 아니에요.
실제로는 과세표준이 어떻게 계산되느냐가 훨씬 중요하죠.
수입과 지출을 잘 정리해서, 과세표준을 정확하게 줄여보세요.
달매의 세금노트, 내일도 한 줄씩 쌓아갈게요. 구독으로 함께해요 :)